RainStar Story

ipTime(아이피타임) 공유기 설치 및 초기화, 공유기접속 및 관리자암호 설정 본문

Information/Utility

ipTime(아이피타임) 공유기 설치 및 초기화, 공유기접속 및 관리자암호 설정

레인스타 2017. 10. 24. 22:24

ipTime(아이피타임) 공유기 설치 및 초기화, 관리자암호 설정
이번에는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시는 공유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와이파이의 대중화로 인해 가정에서 공유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아졌습니다. 하지만 인터넷설치 하실 때 세팅된 상태로 그냥 사용하시는 분들 참 많은데, 암호설정을 안하시면 보안에 정말 취약하여 외부에서 접근 및 컨트롤이 가능하여 해킹의 위험이 상당히 높습니다.
전문지식이 있어 보안을 완벽하게 해 놓는다면 안심이 되겠지만, 그렇지 못한것이 지금 현실이고 ㅜㅜ
대신 외부접속에 대해 암호설정만 해 놓아도 웬만한 해킹으로부터 안전해 질 수 있으니, 꼭 암호설정을 해주시기 바랍니다.



공유기 설치 및 초기화설정
공유기 사용 목적을 간단히 예기하면, 한개의 IP로 여러개의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 있습니다.



공유기는 자신(공유기)에게 연결된 기기들에게 가상IP를 할당해 주고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네트웍을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합니다. 즉 1개의 외부IP를 여러개의 기기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쓰입니다.
내부 네트웍에서 요청받은 작업들을 정리해 공유기에서 외부로 요청하며 받아온 결과값을 해당 내부 네트웍에 피드를 보내어 처리합니다.
이로인해 외부에서는 접속기록이 1개의 IP로 나오며 내부에서 할당받은 가상IP는 확인 할 수 없습니다. 즉 공유기 외부에서는 공유기에서 할당받은 가상IP주소가 아닌 공유기에 연결된 외부IP로 접속기록이 남기때문에 실제 어느 기기에서 접속했는지 여부는 외부에서 알 수 없습니다.(기기정보나 유저를 판별하는 방법이 있긴합니다.)
공유기에 외부IP가 연결이 안되어 있다면 내부 네트웍 안에서 서로 공유를 할 수는 있느나 실제 인터넷 사용은 불가능하게 됩니다.





WAN port : 인터넷 선을 연결하는 포트입니다. (인터넷신청을 하시면 들어오는 랜선(IP)를 연결하시면 됩니다.)
LAN port : 내부 네트웍을 연결하는 포트입니다.(실제 사용하시는 PC 등 기기들... 가상IP)
- 가격에 따라 더 많은 연결이 가능하도록 포트가 많아집니다.
DC IN : 파워(전원)를 연결하는 포트입니다.
WPS : 무선랜카드 설정을 자동으로 세팅하는 기능으로 구 기종에는 없습니다.
RST : 공유기를 초기화 하는 기능입니다.


공유기 초기화
전원을 연결한 상태에서 RST 버튼을 5초간 누르고 있으면 LED가 깜빡거리며 리셋(초기화가)진행되며, 초기화가 완료되면 기본설정값으로 네트웍이 구성됩니다.

공유기 접속
웹브라우져(인터넷창)를 열고 주소창에 192.168.0.1 을 입력합니다. 이 주소는 모든 공유기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주소체계입니다.




초기화를 진행하셨다면 관리자 아이디는 admin 이며 비밀번호는 admin 또는 0000 입니다.




로그인을 하시면 보시게 되는 화면입니다.
동적IP 는 현재 연결된 외부IP(인터넷연결 IP) 주소입니다. ( 실제로 외부에서 인식되는 IP)
"관리도구" 를 클릭해서 들어갑니다.



공유기 관리자암호 설정
고급설정 → 시스템관리→관리자설정
이곳에서 관리자 아이디와 비빌번호를 설정하시면 됩니다.




와이파이 비밀번호 설정은 기본설정→무선 설정/보안 에서 하시면 되는데  이 부분은 따로 포스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

Comments